본문 바로가기

SEMI

[스크랩] 중국 AI의 공습…美 덮친 딥시크 쇼크 (250128)

[경신스(경제신문스크랩) 순서]

  1. 헤드라인에 제목과 요약을 써주세요
  2. 다시 확인하기 위해 복사한 신문 링크를 붙여넣어주세요.
  3. 복사한 신문기사를 내용에 붙여주세요
  4. 신문기사를 보며 수치화에 해당하는 부분은 빨간색인사이트나 적용점을 트렌드 발견했다면 파란색으로 색을 입혀주세요.
  5. 4) 하면서 추가 조사할 내용들에 대해 요약을 한 후 조사를 진행해보세요!
    (이 때, 경쟁사는 어떤 전략/사업을 취하고 있는지 함께 조사한다면 더욱 깊어진 신문스크랩이 될 거에요!)
  6. 5)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현직자에게 인터뷰를 할 때를 대비해 궁금한 점을 질문 리스트로 뽑아보세요.
    여기까지 끝난다면 참고한 기사 링크도 첨부해주세요!
  7. 마지막으로 경제 신문스크랩 스터디를 위해 요약과 자신의 의견을 작성해주세요 (이를 통해 PT 면접을 대비할 수 있어요!)

출처 : 경신스 - https://alivecommunity.notion.site/f4ca50e759e3483e9f545cf58564b599

 

1.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신문 링크)

제목 : 중국 AI의 공습…美 덮친 딥시크 쇼크
중국의 딥시크 R1 모델이 저가형 AI 반도체(H800)로 개발되어 오픈AI의 최신 모델 o1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였고, 이로 인해 AI 반도체 주식들이 급락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35536

 

중국 AI의 공습…美 덮친 딥시크 쇼크

美 10분의1 비용으로 오픈AI 수준 AI 개발 수요감소 우려 엔비디아 시총 850조원 증발 ◆ 딥시크 쇼크 ◆ 2023년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지난 20일 내놓은 A

n.news.naver.com

 

2. 본문 (본문 내용 복사)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  단순히 기사를 읽는 것이 아닌,희망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 /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기
+ 추가 조사 포인트를 위한 키워드 잡기

◆ 딥시크 쇼크 ◆

2023년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지난 20일 내놓은 AI모델 딥시크 R1이 전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지난 2022년 챗GPT 출시 때와 맞먹는 충격이란 평가도 나온다.

중국기업이 기존의 10분의 1 비용으로 개발한 AI모델이 오픈AI의 최신 모델(o1)보다 더 뛰어난 성과를 기록했다. 기술개발을 주도해 온 미국 AI기업들의 고비용 구조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상황에서 나온 '저비용 고성능'모델이 미·중간 AI패권 경쟁을 격화시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뉴욕증시에서는 고사양 반도체들에 대한 수요가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엔비디아를 비롯한 반도체 관련주들이 폭락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27일(현지시간) 17% 가까이 폭락하며 하루만에 시가총액 약 850조원이 증발했다.

28일 미국 뉴욕타임스(NYT) 에 따르면 딥시크의 '추론 AI' 모델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챗GPT의 최신 모델보다 앞서는 성적을 받았다. 딥시크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인 AIME 2024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로 79.2%를 기록한 오픈AI의 추론모델 o1을 앞질렀다. 500개 수학 문제 테스트에서도 97.3%의 정확도로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코딩과 영어 언어 부문에서도 o1, 메타의 AI(라마 3.1)보다 나은 성능을 보였다.

딥시크는 1985년생 헤지펀드 창립자 량원펑이 지난 2023년 5월 중국 항저우에 설립한 AI스타트업이다. 지난해 12월 대규모 무료 언어모델(LLM) V3를 공개한데 이어 지난 20일 추론 특화 AI 모델 R1을 선보였다.

딥시크는 빅테크 기업보다 훨씬 적은 돈으로 해당 모델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불러왔다.

회사 측은 딥시크 V3를 만드는데 558만 달러(약 78억8000만원)가 들었다고 밝혔다. 이는 메타의 라마3를 만드는데 든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메타는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반도체 칩 'H100'을 대거 사용해 만들었다.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저가형 AI 칩 'H800'을 시간당 2달러에 2달간 빌려 해당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캐피털리스트인 마크 앤드리센은 "딥시크 R1은 내가 본 가장 놀랍고 인상적인 혁신 중 하나"라며 "AI의 스푸트니크 모먼트"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AI패권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는 실리콘밸리 뿐 아니라 미 정계까지 흔들었다. 리창 중국 총리가 딥시크 R1 출시일인 지난 20일 베이징에서 량 대표를 만난 것 역시 미중 AI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이란 전망에 불을 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중국 기업의 딥시크 출시는 미국 기업들에 경종(wake up call)이 될 것"이라며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초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샘 올트먼 오픈 AI CEO도 이날 자신의 SNS 계정을 통해 "딥시크 R1은 특히 가격을 고려하면 인상적인 (AI) 모델로 새로운 경쟁자가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는 더 나은 모델을 분명히 만들어 낼 것이고 조만간 몇가지 발표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뉴욕 증시도 AI 반도체주의 폭락과 함께 출렁였다. 엔비디아 주가는 전거래일보다 16.9% 폭락한 118.4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3. 본문의 근거 (객관적인 수치)

(1) 중국기업이 기존의 10분의 1 비용으로 개발한 AI모델이 오픈AI의 최신 모델(o1)보다 더 뛰어난 성과를 기록
(2) 뉴욕 증시에서는 고사양 반도체들에 대한 수요가 줄 수 있다는 우려로 반도체 관련 주들이 급락 -> 엔비디아는 27일 -17%
(3) 딥시크 VS 오픈AI 성능 비교 -> 수치 비교 생략
(4) 딥시크 V3 개발비용 : 558만 달러(약 78억8000만원) -> 메타의 라마3 개발 비용의 10분의 1
         메타는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 'H100'을 대거 사용
     딥시크는 엔비디아의 저가형
AI칩 'H800'을 시간당 2달러에 2달간 빌려 개발

4. 추가 조사할 내용 또는 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위에서 잡은 추가조사 키워드 하나만을 조사해보세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82081i

 

딥시크가 HBM 시장도 흔든다…SK하이닉스·삼성전자 '촉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딥시크가 HBM 시장도 흔든다…SK하이닉스·삼성전자 '촉각' [황정수의 반도체 이슈 짚어보기], 韓 반도체 위기 요인 진단 (3) 딥시크, AI 반도체 판 흔드나 엔비디아 주가 17% 급락 낮은 사양 칩으로 A

www.hankyung.com

-> 아래 내용이 다 있다..ㄷㄷ

AI 반도체 - HBM을 제외한 반도체 알아보기
앞으로 반도체 산업의 설계, 제조, 장비, 재료 전망 알아보기 - 전문가 분석 찾아보기(아직은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움)

추측 :
AI 반도체 개발 및 제조 기업 주가 하락 - NVIDIA, SK HYNIX, TSMC
-> 급락이 장기전은 아닐 듯 하고 잠시 pause의 상태로 보임.


중국의 딥시크, 저가형 AI 가속기 뻥카일 가능성


딥시크가 저가형 AI 반도체로 개발이 가능했다면 저가형 반도체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회사는 어디인가? (수혜 기업)



5. 적용할 점 (현직자 인터뷰 질문/자소서/면접/실무)

 

6. 나와의 연관성 (직무/산업/직장)


딥시크가 공개한 AI 모델은 고성능, 고가의 AI 반도체(H100)를 사용한 Open AI의 모델보다 고성능을 출력하지만 저가형 AI 반도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 고성능 AI 반도체를 제조하는 NVIDIA와 SK Hynix에게 불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AI 기술의 상용화가 가속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딥시크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고가의 AI 가속기가 아닌 저가형 반도체로도 고성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AI 상용화 단계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다. 반대로, 고가의 AI 가속기를 사용해도 결국에는 인간에 준하는 AGI 모델에 한 발짝 가까워 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반도체 업계에 호재라고 볼 수있다. 

(+) CEO들의 지리는 멘탈
"중국 기업의 딥시크 출시는 미국 기업들에 경종(wake up call)이 될 것,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초집중할 필요가 있다" - 트럼프
"딥시크 R1은 특히 가격을 고려하면 인상적인 (AI) 모델로 새로운 경쟁자가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 샘 올트먼 오픈 AI CEO

 

7. 연관 기사 링크

https://themiilk.com/articles/ad32307f2?u=3e083717&t=afdb0747d&from=

 

'딥시크 모멘트'로 AI 반도체 전환점 온다...3대 시사점과 전망 - 더밀크

[더밀크알파] 딥시크 사태 분석 및 AI 인프라 시장 전망 ① 광범위한 반도체 시장의 회복...딥시크가 전환점이 될 수 있다 ② 하루에만 5890억 달러 증발...엔비디아와 빅테크의 미래 전략 전망은?

themiilk.com

 

반응형